유기화학
유기화학 27강 : 이성질체 - RS 체계 익숙해지기
유기화학 27강 : 이성질체 - RS 체계 익숙해지기
2020.08.26저번 시간에 RS 체계에 대해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이 RS 체계에 익숙해지기 위해 문제 몇가지를 같이 풀어보고자 한다. 문제1) 다음 두 분자에서 카이랄 탄소를 찾아 R과 S 배열을 판별하시오. 먼저 왼쪽 분자부터 살펴보자. 사실 카이랄 탄소를 찾는 것 부터가 일인데, 여기서 꿀팁은 - (1) 이중결합인 탄소는 카이랄 탄소가 될 수 없다. - (2) 탄소에 달린 선의 개수가 2개 이하라면 카이랄 탄소가 될 수 없다. (저저번 강의에서 언급했다.) 이를 토대로 빠르게 후보군을 추려나가보면 다음 탄소들이 후보가 된다. 보니까 후보군이 1개 밖에 없다. 이 탄소는 카이랄 탄소가 맞는가? 그렇다. 이제 R배열, S배열을 판단하기 위해 숨겨진 H를 꺼내서 그려보자. 위와 같이 그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렇..
유기화학 26강 : 이성질체 - R, S 체계 (치환기들의 삼차원적 배열 configuration)
유기화학 26강 : 이성질체 - R, S 체계 (치환기들의 삼차원적 배열 configuration)
2020.08.26저번 시간에 카이랄 탄소를 배웠다. 오늘은 이 카이랄 탄소를 이용하여 R, S 체계를 알아볼 것이니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25강을 참고해주길 바란다. R, S 체계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 두 화합물을 구분하여 명명하기 위해서다. R, S 체계에는 규칙이 크게 3가지 있는데 하나하나 차례대로 살펴보자. 규칙1. 카이랄 탄소에 직접 결합된 네 개의 원자를 찾아 원자 번호가 감소하는 순서로 나열한다. 원자 번호가 가장 큰것이 1번이 되고, 가장작은 것(주로 수소)이 4번이 된다. Br > Cl > S > P > O > N > C > H 규칙2. 규칙1을 적용해서 순서를 결정할 수 없을 때는 (직접 결합된 원자가 서로 같은 경우) 두 번째 원자들의 원자 번호를 비교하고 필요하다면 차이점에 도달할때 까지 세번째, ..
유기화학 25강 : 이성질체 - 카이랄 탄소
유기화학 25강 : 이성질체 - 카이랄 탄소
2020.08.26지지...지난 강의 에서 카이랄 탄소를 잠시 언급했었다. 다음 시간에 배울 R, S 체계를 알기 위해서는 카이랄 탄소의 개념이 매우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다시한번 언급하는 것이다. 본격적으로 카이랄 탄소에대해 공부하기 앞서 큰 줄기를 다시한번 살펴보자. 여기서 오늘 주목해야할 부분은 거울상 이성질체 이다. 카이랄 탄소의 유무에 따라 거울상 이성질체의 유무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위 그림속 거울상 이성질체의 예시에서 중심부에 있는 탄소가 바로 카이랄 탄소이다. 그렇다면 카이랄탄소는 무엇일까? 먼저 '카이랄 하다'라는 것의 뜻을 알 필요가 있다. '카이랄 하다' = '광학 활성을 띤다' => 거울상 이성질체를 가진다 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것만 보면 무슨말인지 잘 모른다 예시를 한번 살펴보자. 익숙하지 ..
유기화학 24강 : 이성질체 - 불포화도 응용
유기화학 24강 : 이성질체 - 불포화도 응용
2020.08.26저번 시간에는 불포화도의 개념을 공부했다. 오늘은 불포화도를 이용하여 화합물들의 이성질체들을 체계적으로 그리는 방법을 연습해보자. 지난 강의에서 언급했지만 불포화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풀때 용이하다. 문제) C4H6의 모든 이성질체들을 그리시오. 저번 시간에 구조식이 주어졌을 때 불포화도를 어떻게 구하라고 했는지 기억이 나는가? 불포화도 = 고리 수 + 다중결합 수 (단, 이중결합은 불포화도 1이지만 삼중결합은 불포화도 2로 계산) 라고 했었다. 그렇다면 역으로 불포화도가 주어졌을때 고리 수와 다중결합의 수를 예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우리는 C4H6의 불포화도는 2라는 것을 알고 있다. (불포화도가 2인 이유는 C가 4개일때 포화상태라면 H의 개수는 4*2+2 = 10개가 되어야하는데 6개는 ..
유기화학 23강 : 이성질체 - 불포화도 계산법
유기화학 23강 : 이성질체 - 불포화도 계산법
2020.08.26앞서 우리는 구조 이성질체에 대해 공부했다. 이번에는 '불포화도'에 대해 공부해보자. 우리가 불포화도를 공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체계적이고 빠르게 답하기 위해서이다. 문제) C4H6의 모든 이성질체들을 그리시오. 위 문제를 막상 풀려고 보면 꽤 막막할 것이다. 왜냐하면 C4H6는 butane이 아니기 때문이다. butane은 포화 상태에 있는 사슬 구조로서 화학식은 C4H10이다. 즉, 포화 상태인 butane보다 수소 개수가 4개나 적은 것이다! 그저 막무가내로 그린다면 포화상태를 그릴때와 달리 빼먹은 것은 없는지 확인하기 힘들다. 이러한 작업을 체계적으로 도와주는것이 '불포화도'라는 개념이다. 불포화도를 구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근데 지금 본건 그냥 잊어라. 실제로 문제를 풀 때 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