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
유기화학 16강 : 이형태체 개관
유기화학 16강 : 이형태체 개관
2020.08.24우리는 지금까지 여러 탄소 화합물들의 명명법을 배워왔다. 사실 단일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는 탄소와 탄소결합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므로 같은 화학식이더라도 다양한 입체 배열을 할 수 있다. 이를 이형태체라고 부른다. 위 그림을 보면 앞쪽(전면) 탄소에 붙어 있는 3개의 수소와 뒸쪽(후면) 탄소에 붙어 있는 3개의 수소가 서로 비틀려(어긋나)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오른쪽 그림은 이와 반대되는 경우인데 전면 탄소에 붙어 있는 3개의 수소와 후면 탄소에 붙어 있는 3개의 수소가 서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겹쳐진 형태에서는 어긋났을 때보다 앞뒤 수소의 반발력이 더욱 커지므로 위치에너지가 증가한다. 다음 시간에는 ethane 에서의 이형태체를 살펴보자.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2020.08.24지금까지 아래 탄소화합물들의 이름을 명명해보았다. 이제 이들을 간단히 정리하고 문제풀이를 통해 마무리 해보자. 먼저 공통적으로 명명의 큰 틀을 다음과 같이 똑같다. 1. 모체 탄화 수소를 찾는다. 2.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3. 이름을 명명한다. 여기서 부가적으로 추가하자면 (파란색은 특정 물질에만 해당된다는 것이다.) 1.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 1순위. 가장 많은 탄소가 포함되도록 묶는다. - 2순위. 치환기(곁사슬)의 개수가 가장 많도록 묶는다. - 0순위. Cyclo -> 고리와 사슬중 더 많은 탄소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모체 탄화수소로 결정한다. - 0순위. Alkene -> 이중결합이 포함되도록 묶는다. - 0순위. Alkyne -> 삼중결합이 포함되도록 묶는다. 2. 탄소에 번호를 매긴..
유기화학 4강 : Cycloalkane(사이클로 알케인) 명명법
유기화학 4강 : Cycloalkane(사이클로 알케인) 명명법
2020.08.24지난 3강에서 alkane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를 다시한번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1단계.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 이때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을 모체 탄화수소로 잡는다(가장 긴 -> 탄소수가 가장 많은) - 만약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이 2가지 이상 존재한다면 그중 곁사슬(치환기)가 많은 것을 모체 탄화수소로 결정한다. 2단계.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 모체 탄화수소 사슬의 한쪽 끝에서 시작한다. (탄소에 차례대로 1, 2, 3, ... 번호를 매긴다.) - 왼쪽 끝과 오른쪽 끝 중 번호를 매겼을때 첫 치환기의 탄소 번호가 가장 작도록 한다. - 만약 두가지 경우 모두 첫 치환기의 탄소 번호가 같을 경우 치환기 이름의 알파벳 순서가 앞서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3단계. 이름을 명명한다. - (물질이 달린탄..
유기화학 3강 : Alkane(알케인) 명명법
유기화학 3강 : Alkane(알케인) 명명법
2020.08.24알케인을 명명하는 방법은 총 3단계로 나뉘는데, 1. 모체 사슬 탄화수소를 찾는다. 2.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3. 화합물 이름을 한 단어로 쓴다. 저렇게만 보면 무슨 뜻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을 것이다. 예시를 보며 익혀보자. 왼쪽은 임의의 화합물을 케큘레(선)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며 오른쪽은 결합선 구조식(골격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유기 화학에서는 왼쪽 보다는 오른쪽 구조식 즉, 골격 구조식을 많이 쓰기 때문에 오른쪽 그림을 기준으로 명명을 해보도록 하자. 1단계 :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모체 탄화수소라는 것은 탄소 원자의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아래 예시에서 모체 탄화 수소는 무엇일까? 이 중 1번 의 경우 탄소를 7개 포함한 heptane이고 2,3 번의 경우 모..
유기화학 2강 : 명명법 기초 (공통)
유기화학 2강 : 명명법 기초 (공통)
2020.08.23본격적으로 알케인, 알카인의 명명법을 알아보기 앞서 기초 지식을 알고가도록 하자. (1) 물질명에 쓰인 수의 표시 위와 같이 유기화학에서 물질의 수를 셀때 위와 같은 말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탄소가 3개인 알케인(alkane)의 경우 3을 뜻하는 propa 와 alkane이 합쳐져 propane이라고 한다. (2) 치환기 치환기의 경우 알케인이든 알카인이든 상관없이 탄소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것으로 곁사슬의 개념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사실 지금 당장은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될 수 있으니 3강에서 alkane명명을 공부할때 다시 돌아와 참고하길 바란다. - 탄소 수가 세 개인 알킬기 여기서 파란색 물결 표시의 경우 모체 탄화수소와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모체 탄화 수소의 개념은 3강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