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공부
진정한 꿈
진정한 꿈
2024.04.30"꿈이 무엇인가?".. 참 오랜만에 생각해 보는 질문이다. 그 답을 아는 사람이든 모르는 사람이든, 가슴 한켠에 넣어뒀다가 잊을만 하면 다시 꺼내 생각해보는 그런 질문. 꿈에 대한 질문은 어릴적 부터 우리를 끈질기게 따라왔다. 나는 운이 좋게도 그럴때면 확고한 대답을 하곤했다. 때는 12살. 어느 드라마를 계기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화이트 해커'라는 꿈을 가졌었고 20살 까지 무려 9년간 나의 정체성의 한 자리에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 같다. 꿈에 관한 대화를 할 때면 자신있게 화이트 해커가 되고 싶음을 밝혔고 실제로 코딩 관련 공부도 열심히 하며 관련 학과에도 진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미 예상 했겠지만, 현재는 해커의 꿈을 접고 나를 알아가는 과정에 있다. 이에 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지금..
[하이데거 - 존재와 시간] 죽음에 대한 고찰 47절 / 48절
[하이데거 - 존재와 시간] 죽음에 대한 고찰 47절 / 48절
2024.04.05안녕하세요. 악명높은 철학서 을 가지고, '죽음'에 관하여 논하는 두 번째 글 시작하겠습니다. 여전히 어렵긴 하지만, 중요한건 한줄 한줄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단 전체의 뉘양스를 파악하는게 중요하기에 이를 기반으로 같이 공부해 봅시다. [목차] 1. 47절 : 타인의 죽음의 경험가능성과 전체 현존재의 파악가능성 - 타인의 죽음에 대한 관찰의 필요성 - 타인의 죽음에 대한 고찰 - 죽음의 각자성 2. 48절 : 미완, 종말, 전체성 **가독성을 위해 평어체로 썼습니다. 1. 47절 : 타인의 죽음의 경험가능성과 전체 현존재의 파악가능성 (1) 타인의 죽음 관찰의 필요성 앞서 우리는 현존재(Dasein)에 대해 공부했다. (현존재 : '자신의 존재성에 대해 존재 물음을 던지는 존재') 그렇다면 우..
[하이데거 - 존재와 시간] 현존재 : 존재물음의 시작
[하이데거 - 존재와 시간] 현존재 : 존재물음의 시작
2024.04.03안녕하세요. 악명높은 철학서 을 가지고, '죽음'에 관하여 논하는 첫 번째 글 시작하겠습니다. 솔직히 독일 사람들도 독일어로 따로 번역이 필요하다고 할 정도로 하이데거만의 고유 용어와 합성어가 많아 한국어 번역판은 그야말로 외계어가 따로 없습니다. 그래도 중요한건 한줄 한줄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단 전체의 뉘양스를 파악하는게 중요하기에 이를 기반으로 같이 공부해 봅시다. [목차] 1. 현존재의 정의 - 현존재 - 그들 - 실존 2. 빠져있음 - 잡담 - 호기심 - 애매함 3. 죽음에 대한 사유의 시작 - 공포와 불안의 비교 - 죽음에 대한 존재물음 **가독성을 위해 평어체로 썼습니다. 1. 현존재의 정의 철학의 역사에서 '존재'는 망각되어 왔다. 우리는 '존재'라는 단어에 더 세부적인 해석을 ..
선형대수학 1강 <행렬의 정의와 연산>
선형대수학 1강 <행렬의 정의와 연산>
2024.03.30안녕하세요. 오늘은 선형대수학 1강. 행렬의 정의와 연산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독성을 위해 평어체로 쓰도록 하겠습니다. 목차부터 봅시다. 1강 목차 1. 행렬의 정의 (1) 행렬의 기초 ① 행과 열의 구분 ② 정사각행렬과 대각성분 ③ 행렬의 상등 (같은 행렬) 2. 행렬의 덧셈과 뺄셈 (1) 항등원과 역원의 정의 ① 항등원의 정의 ② 역원의 정의 ③ 정리 (2) 행렬의 실수배와 덧셈 ① 행렬의 실수배의 정의 ② 행렬의 덧셈의 정의 (3) 행렬의 실수배와 덧셈에 대한 성질 ① 성질1. 교환법칙 ② 성질2. 결합법칙 ③ 성질3. 항등원 ④ 성질4. 역원 ⑤ 성질5. 기타 ⑥ 성질 정리 3. 행렬의 곱셈과 정칙행렬 (1) 행렬의 곱셈 ① 행렬의 곱셈의 정의 ② 예시 (2) 행렬의 곱셈에 대한 성질 ① 성질1...
선형대수학 0강 <목차>
선형대수학 0강 <목차>
2024.03.29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선형대수학 강의를 올려 보려고 합니다. 어떤 공부를 하던지 나무보단 숲을 먼저 봐야 하기에 목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강. 행렬의 정의와 연산 2강. 특별한 행렬 3강. 연립 선형 방정식 4강. 가우스-조던 소거법 5강. 기본행렬과 역행렬 6강. 행렬식의 계산 7강. 행렬식의 성질 8강. 행렬식과 역행렬, 연립 선형 방정식 9강. 벡터공간과 부분공간 12강. 유클리드 내적, 내적공간, 정사영 내적 13강. Gram-Schmidt의 수직화 과정 14강. 내적의 응용 10강. 선형결합, 선형독립, 선형종속 11강. 기저와 차원, 랭크 15강. 선형 변환 16강. 핵과 치역, 역변환 17강. 동형변환, 전이행렬을 이용한 18강. 고유값과 고유벡터 19강. 행렬의 대각화 20강. 대칭행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