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화학
용액 1강 : 이상 용액 (feat. 라울의 법칙)
용액 1강 : 이상 용액 (feat. 라울의 법칙)
2020.08.29이상 용액이란? 1. 라울의 법칙(Raoult's law)을 만족하는 용액이다. -> 라울의 법칙 : 용액에서의 증기압력은 순수한 상태에서의 증기압력에 몰 분율을 곱한 것과 같다. 즉 이상용액은 라울의 법칙을 만족한다는 뜻이다. (자세한 내용은 곧 나온다.) 2. (용매간 인력 + 용질 간 인력)의 평균 = 용매와 용질간 인력 그러니까 용매에 용질을 첨가해도 물질 사이의 인력의 평균에는 변화가 없다는 뜻이다. 이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보면 △H = 0 인 것과 같다. 이상용액은 라울의 법칙을 만족하는 용액이라고 했다. 그러면 이상용액에서 두 순수한 용액을 혼합했을 때의 증기압 그래프를 알아보자. 먼저 순수한 용액 1의 증기압력 그래프를 몰분율에 따라 그려주면 위와 같을 것이다. 가로축은 x1으로 몰분율로 ..
산 염기 3강 : 1가 산 염기 -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와 산 염기의 세기
산 염기 3강 : 1가 산 염기 -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와 산 염기의 세기
2020.08.28지난 강의에서 물의 자동이온화와 물의 이온곱 상수에 관한 예제를 풀어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물 말고도 다른 산, 염기들에 대한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같이 살펴보자. 1. 이온화도 일단 이온화 라는 것은 전해질이 수용액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누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온화도는 쉽게 생각해서 '이온화 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온화도가 크다면 많이 이온화 되는 것이고 반대로 작다면 적게 이온화 될 것이다. 이 말을 정량적인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2. 이온화 상수 산과 염기가 물에 녹아 이온화하여 평형상태를 이루었을 때 평형상수를 각각 산의 이온화 상수(Ka), 염기의 이온화 상수(Kb)라고 한다. 또한 이온화 해리 상수라고도 한다. 아래 표를 참고해서 보면 이해가 빠를..
산 염기 2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 예제
산 염기 2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 예제
2020.08.28저번 강의에서 물의 자동이온화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예제를 같이 풀어보자.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위 그림은 25℃에서 1.0M HCl 수용액과 1.0M NaOH 수용액을 여러 가지 비율로 섞은 후 각 혼합 용액의 최고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물의 이온곱 상수는 온도에 따라 다음 표의 값을 가진다. 각 용액의 pH를 구해라. (1) A 용액 (2) B 용액 (3) C 용액 (4) 계산 과정 없이 B 용액의 액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Hint. 열역학) (1) 부터 같이 한번 살펴보자. 위 문제는 사실 강산과 강염기를 적정하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아무튼 A용액은 산성일 것임을 혼합한 HCl 과 NaOH의 양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HC..
산 염기 1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와 수소 이온 농도 (ps. 흡열반응)
산 염기 1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와 수소 이온 농도 (ps. 흡열반응)
2020.08.28물도 다른 염기나 산과 마찬가지로 극소량이지만 다음과 같이 스스로 이온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물의 자동 이온화'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반응식의 평형상수를 구해보자. 이때 [H2O]는 '온도가 일정할때' 일정한 상수 값이므로 양변에 [H2O]를 곱해주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따라서 여기서 물의 이온곱 상수를 정의하게 되며 [H2O]와 K는 모두 상수이므로 상수 * 상수 = 상수 식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물의 이온곱 상수를 평형상수 * 물의 농도로 정의한다. 또한 물의 이온곱 상수는 다음과 같이 온도에 따라 정해져 있다. 따라서 수소이온의 농도와 수산화이온의 농도중 하나만 알고 있으면 다른 하나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위 표를 자세히 보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의 ..
유기화학 27강 : 이성질체 - RS 체계 익숙해지기
유기화학 27강 : 이성질체 - RS 체계 익숙해지기
2020.08.26저번 시간에 RS 체계에 대해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이 RS 체계에 익숙해지기 위해 문제 몇가지를 같이 풀어보고자 한다. 문제1) 다음 두 분자에서 카이랄 탄소를 찾아 R과 S 배열을 판별하시오. 먼저 왼쪽 분자부터 살펴보자. 사실 카이랄 탄소를 찾는 것 부터가 일인데, 여기서 꿀팁은 - (1) 이중결합인 탄소는 카이랄 탄소가 될 수 없다. - (2) 탄소에 달린 선의 개수가 2개 이하라면 카이랄 탄소가 될 수 없다. (저저번 강의에서 언급했다.) 이를 토대로 빠르게 후보군을 추려나가보면 다음 탄소들이 후보가 된다. 보니까 후보군이 1개 밖에 없다. 이 탄소는 카이랄 탄소가 맞는가? 그렇다. 이제 R배열, S배열을 판단하기 위해 숨겨진 H를 꺼내서 그려보자. 위와 같이 그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