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화학/유기화학
유기화학 2강 : 명명법 기초 (공통)
유기화학 2강 : 명명법 기초 (공통)
2020.08.23본격적으로 알케인, 알카인의 명명법을 알아보기 앞서 기초 지식을 알고가도록 하자. (1) 물질명에 쓰인 수의 표시 위와 같이 유기화학에서 물질의 수를 셀때 위와 같은 말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탄소가 3개인 알케인(alkane)의 경우 3을 뜻하는 propa 와 alkane이 합쳐져 propane이라고 한다. (2) 치환기 치환기의 경우 알케인이든 알카인이든 상관없이 탄소화합물에 존재하게 되는것으로 곁사슬의 개념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사실 지금 당장은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될 수 있으니 3강에서 alkane명명을 공부할때 다시 돌아와 참고하길 바란다. - 탄소 수가 세 개인 알킬기 여기서 파란색 물결 표시의 경우 모체 탄화수소와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모체 탄화 수소의 개념은 3강에서 나온다...
유기화학 1강 : 탄소화합물의 분류
유기화학 1강 : 탄소화합물의 분류
2020.08.23본격적인 탄소화합물 명명법을 배우기 앞서 가장 기초적인 탄소화합물의 분류를 알아보자. 굳이 지금 단계에서 외울필요는 없고 그저 큰 줄기를 본다는 느낌으로 공부하면 될 것 같다! 전체 개요는 위 그림과 같으며 앞으로 하나하나 명명법과 특징 들을 배워나갈 것이다. 탄화수소는 사슬형과 고리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말 그대로 탄소의 배열이 사슬이냐, 고리냐로 나눈 것이다. 후에 각각 포화, 불포화로 나뉘는데, 포화와 불포화의 결정은 탄소 개수와 수소 개수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슬형의 경우 수소 개수가 탄소 개수의 2배보다 2개 더 많다면 포화인 경우이다. (alkane) 이정도로 가볍게 알고넘어가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