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화학/유기화학
유기화학 12강 : 명명법 - 작용기 케톤(Ketone)
유기화학 12강 : 명명법 - 작용기 케톤(Ketone)
2020.08.24지난 시간에는 알데하이드(Aldehyde)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작용기 케톤(Ketone)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역시나 그렇듯이 기본 명명 구조는 다른것과 같고 다른점은 -e 대신 -one로 바꾸어 명명하며 모체 사슬은 (C=O)를 포함하는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이다. 다중 결합이 있을 때는 다중 결합을 포함하도록 모체 사슬을 결정한다. 또한 Ketone에서 사슬의 위치번호는 (C=O) 기 탄소에 가장 가까운 말단 탄소부터 부여한다. 즉 다음과 같이 명명할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유기화학 11강 : 명명법 - 작용기 알데하이드(Aldehyde)
유기화학 11강 : 명명법 - 작용기 알데하이드(Aldehyde)
2020.08.24지난 시간에는 에테르(Ether)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알데하이드(Aldehyde)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기본 명명 순서는 지금까지 배워온 탄소화합물들과 똑같으며 추가된 것은 모체사슬이 -CHO기를 포함하는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이라는 것이다. 또한 모체사슬의 위치 번호는 -CHO 탄소가 항상 1번이다. 또한, 모체 알케인 이름 끝에 있는 -e 대신 -al 로 바꾸어 명명한다. 예시는 아래와 같다. 다음 시간에는 케톤(Ketone)을 배워보자.
유기화학 10강 : 명명법 - 작용기 에테르 (Ether)
유기화학 10강 : 명명법 - 작용기 에테르 (Ether)
2020.08.24저번 시간에는 알코올(alcohol)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번에는 에테르(Ether)의 명명법을 살펴보자. 에테르의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앞서 배운 알코올과의 차이는 O(산소)가 알코올 처럼 끝에 붙어 있는 것이 아닌 탄소 사이에 붙어 있다는 것이다. 이점이 알코올과 에테르를 구별하는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에테르를 명명할때는 O 양쪽에 붙어 있는 치환기를 먼저 표기하고 ether라는 단어를 끝에 붙인다. 즉 다음과 같다. 다음 시간에는 알데하이드(Aldehyde)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유기화학 9강 : 명명법 - 작용기 알코올 (alcohol)
유기화학 9강 : 명명법 - 작용기 알코올 (alcohol)
2020.08.24이번 시간에는 작용기 알코올을 포함하고 있는 탄소화합물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기본적 순서는 저번 시간까지 배운 명명법과 동일하며 추가된 규칙만 알아보고 예시를 통해 마무리하도록 하자. 처음 모체 탄화수소를 결정할때 -OH기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긴 탄소사슬을 선택한다. 후에 탄소 번호를 매길 때는 -OH기가 가까운 말단 탄소부터 번호를 붙인다. 아래 예시들을 보자. * -OH 개수에 따른 분류 : 1가, 2가, 3가 알코올 * -OH가 붙은 탄소에 결합하는 alkyl의 수에 따른 분류 : 1차, 2차, 3차 알코올 다음 시간에는 Ether(에테르)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2020.08.24지금까지 아래 탄소화합물들의 이름을 명명해보았다. 이제 이들을 간단히 정리하고 문제풀이를 통해 마무리 해보자. 먼저 공통적으로 명명의 큰 틀을 다음과 같이 똑같다. 1. 모체 탄화 수소를 찾는다. 2.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3. 이름을 명명한다. 여기서 부가적으로 추가하자면 (파란색은 특정 물질에만 해당된다는 것이다.) 1.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 1순위. 가장 많은 탄소가 포함되도록 묶는다. - 2순위. 치환기(곁사슬)의 개수가 가장 많도록 묶는다. - 0순위. Cyclo -> 고리와 사슬중 더 많은 탄소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모체 탄화수소로 결정한다. - 0순위. Alkene -> 이중결합이 포함되도록 묶는다. - 0순위. Alkyne -> 삼중결합이 포함되도록 묶는다. 2. 탄소에 번호를 매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