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유기화학 7강 : Alkene(알켄) + Alkyne(알카인)
유기화학 7강 : Alkene(알켄) + Alkyne(알카인)
2020.08.24지난 시간과 지지난 시간에 각각 Alkyne과 Alkene의 명명법을 배웠다. 그렇다면 아래의 탄소 화합물을 어떻게 명명할 것인가? 즉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이 동시에 나타나는 사슬형 탄소화합물의 명명을 알아보자. 항상 그렇듯이 모체 탄화수소를 찾아야한다. 위의 경우는 모체 탄화수소의 결정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을 모두 묶을 수 없는 경우에는 최대한 많은 이중 결합과 삼중 결합이 묶이도록 한다. 위의 예시는 다음과 같이 모체 탄화수소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탄소에 번호를 매겨보자. 앞선 5강과 6강에서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의 탄소 번호가 가장 작게 되도록 번호를 매기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이중결합을 우선시해야할까 삼중결합을 우선시 해야할까? 해결책은 매우 간단하다. 항상 그렇듯이 ..
유기화학 6강 : Alkyne(알카인) 명명법
유기화학 6강 : Alkyne(알카인) 명명법
2020.08.24저번 시간에는 alkene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번에는 alkyne의 명명법을 배워보자. 그 전에 1강에서 봤었던 큰 줄기를 다시한번 보자. 지금까지 alkane, alkene, cycloalkane의 명명법을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alkyne을 명명해보고자 한다. 1단계.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2단계.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3단계. 이름을 명명한다. 위 처럼 레파토리는 항상 똑같다. (사실 복붙했다) 1단계.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alkene의 경우 이중결합이 포함된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찾았다면 alkyne의 경우 삼중 결합이 포함된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찾으면 된다. 위 예시에서 모체 탄화수소는 당연히 다음과 같을 것이다. 2단계.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alkene과 마찬가지로 삼중 결합의..
유기화학 5강 : Alkene(알켄) 명명법
유기화학 5강 : Alkene(알켄) 명명법
2020.08.24지난 시간 cylcoalkane (사이클로 알케인)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번 시간에는 alkene의 명명법을 알아보자. 1단계.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2단계.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3단계. 이름을 명명한다. 앞서 배운 alkane과 cycloalkane과 비교했을 때 항상 명명의 기본 뼈대는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유기화학을 공부할때는 하나 하나 쌓아간다는 느낌으로 공부할때 가장 효과적인것 같다. 1단계.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이 부분에서는 alkane의 논리를 따라가되 무조건 모체 사슬 탄화수소에 이중 결합이 포함되도록 하자 이때 접미사는 ene(엔)를 사용한다. 만약 탄소가 3개라면 propene (프로펜) 이라 쓴다. 위 그림에서 모체 탄화수소를 찾아보자.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모체 사슬 ..
유기화학 4강 : Cycloalkane(사이클로 알케인) 명명법
유기화학 4강 : Cycloalkane(사이클로 알케인) 명명법
2020.08.24지난 3강에서 alkane의 명명법을 배웠다 이를 다시한번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1단계.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 이때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을 모체 탄화수소로 잡는다(가장 긴 -> 탄소수가 가장 많은) - 만약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이 2가지 이상 존재한다면 그중 곁사슬(치환기)가 많은 것을 모체 탄화수소로 결정한다. 2단계.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 모체 탄화수소 사슬의 한쪽 끝에서 시작한다. (탄소에 차례대로 1, 2, 3, ... 번호를 매긴다.) - 왼쪽 끝과 오른쪽 끝 중 번호를 매겼을때 첫 치환기의 탄소 번호가 가장 작도록 한다. - 만약 두가지 경우 모두 첫 치환기의 탄소 번호가 같을 경우 치환기 이름의 알파벳 순서가 앞서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3단계. 이름을 명명한다. - (물질이 달린탄..
유기화학 3강 : Alkane(알케인) 명명법
유기화학 3강 : Alkane(알케인) 명명법
2020.08.24알케인을 명명하는 방법은 총 3단계로 나뉘는데, 1. 모체 사슬 탄화수소를 찾는다. 2. 탄소에 번호를 매긴다. 3. 화합물 이름을 한 단어로 쓴다. 저렇게만 보면 무슨 뜻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을 것이다. 예시를 보며 익혀보자. 왼쪽은 임의의 화합물을 케큘레(선)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며 오른쪽은 결합선 구조식(골격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유기 화학에서는 왼쪽 보다는 오른쪽 구조식 즉, 골격 구조식을 많이 쓰기 때문에 오른쪽 그림을 기준으로 명명을 해보도록 하자. 1단계 : 모체 탄화수소를 찾는다. 모체 탄화수소라는 것은 탄소 원자의 가장 긴 연속된 사슬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아래 예시에서 모체 탄화 수소는 무엇일까? 이 중 1번 의 경우 탄소를 7개 포함한 heptane이고 2,3 번의 경우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