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염기 2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 예제
저번 강의에서 물의 자동이온화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예제를 같이 풀어보자.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위 그림은 25℃에서 1.0M HCl 수용액과 1.0M NaOH 수용액을 여러 가지 비율로 섞은 후 각 혼합 용액의 최고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물의 이온곱 상수는 온도에 따라 다음 표의 값을 가진다. 각 용액의 pH를 구해라.
(1) A 용액
(2) B 용액
(3) C 용액
(4) 계산 과정 없이 B 용액의 액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Hint. 열역학)
(1) 부터 같이 한번 살펴보자.
위 문제는 사실 강산과 강염기를 적정하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아무튼 A용액은 산성일 것임을 혼합한 HCl 과 NaOH의 양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HCl과 NaOH는 서로 농도가 같으므로 부피의 비교만으로 A용액의 액성을 유추할 수 있다.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해보자.
먼저 NaOH와 HCl은 각각 강염기와 강산이므로 수용액 상태에서 아래와 같이 모두 이온화하여 존재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수산화 이온(염기) 수소 이온(산) 이다.
A 용액을 예로 들어보자.
우리는 A용액에서 강염기와 강산의 용액의 농도와 부피를 각각 알고 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각각의 몰수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1mmol은 1 M과 mL를 바로 연산한 것으로 10^-3 * mol과 같은 값이다. -> 계산할때 요긴하게 쓰인다)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의 평형상수는 매~우 작은데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의 역반응은 평형상수가 매~우 커 대부분 아래 처럼 반응한다.

따라서 수산화 이온의 농도는 0mmol(5-5)이 될 것이고 수소 이온의 농도는 10mmol(15-5)이 될 것이다.
이제 pH를 구해보면

(2) B 용액도 이와 마찬가지 메커니즘으로 구할 수 있다.
최종 식만 비교해서 보자.

주의 할 점은 물의 이온곱 상수를 25℃때가 아니라 30℃ 것을 써야한다는 것이다.
(3) C 용액은 앞선 A, B 용액과 살짝 느낌이 다른데, 이떄 pH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의 이온곱 상수를 이용하면 된다.
C용액은 NaOH와 HCl의 부피가 같아 NaOH와 HCl 에 의한 수산화이온과 수소이온은 모두 소거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중성 용액이긴하다.
그러나 사실 물의 자동이온화 반응으로 인해 매우 소량 남게 된다.
이를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이 해결할 수 있다.

당연히 이떄 물의 이온곱 상수(Kw)는 35℃ 것을 써야 한다.
그렇다면 C용액은 분명 중성용액인데 왜 pH가 7보다 작을까? (사실 1강에서 설명했다.)
이 질문이 (4) 문항이다.
풀어쓰자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물의 자동이온화 반응은 흡열 반응이므르로 35℃의 온도에서는 Kw값이 25℃(표준상태)보다 커지므로
중성 상태의 pH가 7보다 작아진다.
이번 시간에는 물의 자동이온화에 관한 예제를 풀어보았다.
다음시간에는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를 알아보자.
'밤샘화학 > 산 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 염기 3강 : 1가 산 염기 -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와 산 염기의 세기 (0) | 2020.08.28 |
---|---|
산 염기 1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와 수소 이온 농도 (ps. 흡열반응) (0) | 2020.08.2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산 염기 3강 : 1가 산 염기 -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와 산 염기의 세기
산 염기 3강 : 1가 산 염기 -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와 산 염기의 세기
2020.08.28지난 강의에서 물의 자동이온화와 물의 이온곱 상수에 관한 예제를 풀어보았다. 이번 강의에서는 물 말고도 다른 산, 염기들에 대한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같이 살펴보자. 1. 이온화도 일단 이온화 라는 것은 전해질이 수용액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누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그렇다면 이온화도는 쉽게 생각해서 '이온화 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온화도가 크다면 많이 이온화 되는 것이고 반대로 작다면 적게 이온화 될 것이다. 이 말을 정량적인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2. 이온화 상수 산과 염기가 물에 녹아 이온화하여 평형상태를 이루었을 때 평형상수를 각각 산의 이온화 상수(Ka), 염기의 이온화 상수(Kb)라고 한다. 또한 이온화 해리 상수라고도 한다. 아래 표를 참고해서 보면 이해가 빠를… -
산 염기 1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와 수소 이온 농도 (ps. 흡열반응)
산 염기 1강 : 1가 산 염기 - 물의 자동 이온화와 수소 이온 농도 (ps. 흡열반응)
2020.08.28물도 다른 염기나 산과 마찬가지로 극소량이지만 다음과 같이 스스로 이온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물의 자동 이온화'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반응식의 평형상수를 구해보자. 이때 [H2O]는 '온도가 일정할때' 일정한 상수 값이므로 양변에 [H2O]를 곱해주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따라서 여기서 물의 이온곱 상수를 정의하게 되며 [H2O]와 K는 모두 상수이므로 상수 * 상수 = 상수 식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물의 이온곱 상수를 평형상수 * 물의 농도로 정의한다. 또한 물의 이온곱 상수는 다음과 같이 온도에 따라 정해져 있다. 따라서 수소이온의 농도와 수산화이온의 농도중 하나만 알고 있으면 다른 하나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위 표를 자세히 보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의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