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 7강 : Alkene(알켄) + Alkyne(알카인)
지난 시간과 지지난 시간에 각각 Alkyne과 Alkene의 명명법을 배웠다.
그렇다면 아래의 탄소 화합물을 어떻게 명명할 것인가?
즉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이 동시에 나타나는 사슬형 탄소화합물의 명명을 알아보자.
항상 그렇듯이 모체 탄화수소를 찾아야한다.
위의 경우는 모체 탄화수소의 결정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이중결합과 삼중결합을 모두 묶을 수 없는 경우에는 최대한 많은 이중 결합과 삼중 결합이 묶이도록 한다.
위의 예시는 다음과 같이 모체 탄화수소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탄소에 번호를 매겨보자.
앞선 5강과 6강에서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의 탄소 번호가 가장 작게 되도록
번호를 매기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이중결합을 우선시해야할까 삼중결합을 우선시 해야할까?
해결책은 매우 간단하다.
항상 그렇듯이 치환기와 마찬가지로 알파벳 순서가 앞선 것을 우선시 하면 된다.
이중결합의 경우 접미사 -ene가 붙고
삼중결합의 경우 접미사 -yne이 붙으므로
e가 y보다 알파벳 순서를 앞서므로 이중결합의 탄소 번호를 가장 작게 해주면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탄소의 번호를 매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름을 명명해보자.
탄소의 개수가 8개 이므로 oct가 붙고 ene과 yne이 차례대로 붙으면
octa - 2, 4 - dien - 6- yne 이 된다.
** 여기서 잠깐!
왜 oct - 2,4 - dien ... 이 아니고 octa - 2, 4 - dien 인가요?
그것은 oct라고 썼을때 oct의 t와 dien의 d가 발음상 충돌하기 때문에
octa까지 써주게 되는 것이다.
즉, 2, 4번에 이중결합이 하나씩 존재하는 dien이 아니라
2번에 이중결합이 하나만 존재하는 en이였다면 oct - 2 - en ... 이라고 썼을 것이다.
'밤샘화학 > 유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화학 9강 : 명명법 - 작용기 알코올 (alcohol) (0) | 2020.08.24 |
---|---|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23) | 2020.08.24 |
유기화학 6강 : Alkyne(알카인) 명명법 (0) | 2020.08.24 |
유기화학 5강 : Alkene(알켄) 명명법 (0) | 2020.08.24 |
유기화학 4강 : Cycloalkane(사이클로 알케인) 명명법 (0) | 2020.08.2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유기화학 9강 : 명명법 - 작용기 알코올 (alcohol)
유기화학 9강 : 명명법 - 작용기 알코올 (alcohol)
2020.08.24 -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유기화학 8강 : 명명법 총정리 및 문제풀이
2020.08.24 -
유기화학 6강 : Alkyne(알카인) 명명법
유기화학 6강 : Alkyne(알카인) 명명법
2020.08.24 -
유기화학 5강 : Alkene(알켄) 명명법
유기화학 5강 : Alkene(알켄) 명명법
2020.08.24